[정신의학신문 : 권용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e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어릴 때 생겨 많게는 절반 정도가 성인까지 이어지는 만성 발달장애입니다. 성인까지 이어져 확인된 경우에 성인 ADHD라 부르지요.

ADHD의 성비를 보면 어린아이들에서 남자가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에서는 성비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진행된 것이 많지 않지만 남녀 1:1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정말로 남자가 많나?

미국에서 처음 ADHD에 대해 연구가 시작될 때 남자아이들을 대상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ADHD 진단 자체에 성별에 따른 편향된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집이나 학교에서 지나치게 활발하고, 가만히 있지 못하는, 말썽쟁이 남자아이들이 주로 클리닉에 방문했고, 이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 과활동(hyperactivity)이 전형적 특징으로 알려졌지요. ADHD가 있는 여자아이들의 경우에도 남자아이들에 비해 과활동 증상이 적기 때문에 겉으로 문제가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지 않아 보이는 것이지요.(이 부분은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남아의 진단비율이 높은 것은 전 세계적으로 비슷합니다.) 하지만 꾸준한 연구 결과 ADHD의 핵심, 그리고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증상은 부주의함(Inattention/attention deficit)이라고 밝혀지고 있습니다.

​​

여자에서 성인 ADHD가 적은 이유

성인 ADHD의 성비를 보면 DSM-5의 진단기준이나 여러 연구에서 남녀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진료 현장에서는 남성이 여전히 높은 비율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1. 진단이 어렵기도 하다

- 여성에서 부주의(inattention) 증상이 많다 보니 성인이 되어도 본인 스스로나 주변에서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로 인해 여성의 ADHD 증상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로 진단 내려지는 경우가 많다.
- 여성 호르몬 변화에 따른 주기의 영향으로 증상이 변할 수 있다.
- 어린 시절의 증상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
- 이와 관련된 진단 도구가 충분하지 못하다.


​2. 사회 문화적 요인

성차별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여성의 고정된 성역할에 대한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상대적으로 많은 부주의 증상에 대해 "여자니까 수동적일 수 있다.", "원래 성격이 저렇다."라고 치부하는 경향.
- 실제로 멀티 태스킹을 하는 경우가 많다 - 엄마역할 / 주부역할 / 직장근무 등
- 치료를 찾는 것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두려움
- 내재화 경향성


그래도 최근에는 미디어의 영향과 인식의 변화로 여성분들이 ADHD인 것 같다고 방문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거기다 치료의 초점도 행동의 문제에서 기능의 저하를 개선하는 쪽으로 설정하다 보면 부담 없이 치료의 시작도 어렵지 않기도 합니다.

 

사진_픽셀

 

짚고 넘어가야 할 호르몬 문제

여성에서 반드시 생각해야 할 것은 월경주기에 따른 증상의 변화입니다.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여성호르몬 변화에 따라 주의력과 감정, 충동조절 능력도 일부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낮은 에스트로젠이 이러한 주의력 저하를 심화시키고, 호르면 변화 자체가 동기를 저하시키는데, 뇌의 보상기능에 문제가 생겨 동기 수준이 낮아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월경전에 PMS와 함께 주의력 저하가 유독 심해진다면 다른 영역에 대한 것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여성에서 주의력 저하에 대한 경고 신호

​여성이라 하여 ADHD 증상이 더 문제가 된다거나 치료 효과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여성에서 주의력과 충동성과 같은 핵심 증상 외에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면 합리적으로 의심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 ​항상 성취도가 낮은 경우
- 감정의 지나친 변화
- 오랜 기간 지속되는 이유 없는 불안이나 과도한 걱정들
- 중독 - 술과 같은 물질부터 게임, 도박과 같은 행위
- 이유 없이 반복되는 신체 증상
- 폭식과 같은 식이 증상
- PMS 증상 및 월경주기에 따라 차이 나는 부주의함과 충동성

 

권용석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전체기사 보기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