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시간에 천식에 대한 설명과 진단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은 천식의 치료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 |
천식 치료의 기본은 흡입치료입니다. 흡입제를 흡입해주면 약물이 기관지의 점막으로 들어가서 직접 작용해주는 것이죠.
![]() |
약음 크게 조절제와 증상완화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조절제는 항염증 효과를 위해 매일 사용하는 것이고 증상완화제는 신속하게 기도를 확장시키는 약입니다.
조절제에는 흡입 또는 경구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거나 흡입 스테로이드와 지속성 베타작용제나 항류코트리엔제를 병용합니다.
증상완화제로는 흡입 속효성 베타작용제나 항콜린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대표적인 완화제인 속효성 베타작용제는 혈압약으로 흔히 사용되는 베타차단제와 반대되는 효과를 냅니다. 효과가 빠른 속효성이 증상완화제로 쓰이고 효과가 느리지만 긴 지속성은 조절제로 사용됩니다.
![]() |
혈압약인 베타차단제와 반대되는 효과를 내는 만큼 고혈압과 천식을 함께 가진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가령 천식이 있다면 고혈압 약으로 베타작용제를 피해야 하는 것이죠.
![]() |
염증을 줄여주는 대표적인 약은 스테로이드입니다. 보통은 흡입제로 유지치료에 쓰지만 급한 경우에는 주사제나 먹는 약으로도 씁니다. 스테로이드는 항염효과 때문에 알레르기성 아토피성 질환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질환에 이르기까지 정말 많이 쓰이는 약입니다.
![]() |
이런 약들은 환자의 증상에 맞춰서 단계적으로 사용합니다.
![]() |
증상이 미미하면 필요할 때만 속효성 기관지확장제를 쓰고 심하면 유지치료용 흡입 스테로이드나 기관지 확장제를 같이 사용합니다. 치료가 잘 안될 때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기도 합니다.
![]() |
천식은 영원한 것인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소아 천식은 저절로 좋아지거나 나이가 들면서 줄어드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흔히 얘기하는 아토피 행진 (atopic march) 중 하나인 천식인 만큼 다른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비염을 경험할 가능성은 높지만 말입니다.
반면에 성인 천식은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드뭅니다. 따라서 고혈압 당뇨 고콜레스테롤혈증처럼 적절한 치료와 조절을 통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 |
건조하고 차가운 환경은 천식에 안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추운 날이나 새벽에는 가능하면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운동 유발성 천식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며 운동 전에 미리 속효성 기관지확장제를 뿌리가 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천식은 가역적인 기류제한이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장기간 방치된다면 만성적인 염증에 의해 기도가 좁은 상태로 굳어져 불가역적인 상태로 변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리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 |
천식은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천명 등으로 올 수도 있지만 기침만 증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천식의 증상이 어떤 것이 있을 수 있는지 숙지하고 의심될 때 병원진료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 |
갑자기 발생하는 천식 발작은 정말 위험하지만 꾸준한 관리로 조절이 가능하니 담당 의사선생님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유진수 외과전문의 jsrrule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