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의학신문 | 황인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영국 드라마 <스킨스(Skins)>의 등장인물 에피(Effy)를 따라하는 일명 ‘에피병’을들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에피는 퇴폐적인 비행 청소년의 마스코트로 눈에 띄는 아름다운 외모와 뛰어난 두뇌를 갖고 있는 무척 매력적인 청소년입니다. 그러나, 에피는 사람들을 신뢰하고 사랑하는 것을 병적으로 두려워합니다. 사랑하는 남자가 있어도, 에피는 의미 있는 존재가 생기는 것이 불안하고 무서워하며 일부러 많은 남자와 성관계를 맺고, 마약, 자해, 자살 시도 등 자기파괴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습니다.

에피의 극단적인 정서 변화와 충동적인 행동들은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의 주요한 특징입니다. 경계선 성격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충동적으로 자기파괴적인 행동을 하고, 극단적인 감정 변화를 겪습니다. 이러한 탓에 경계선 성격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강렬하지만 불안한 대인관계를 갖고, 자기정체감에 혼란을 느낍니다. ‘난 누구지?’ 경계선 성격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인식하지 않고,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혼란스러워하고 불안해하며 우울해합니다. 

에피의 환경을 보면, 왜 에피가 이렇게 극단적인 행동과 정서 변화를 겪는지 조금은 알 수 있습니다.

에피가 학교에서 있었던 일들, 자신에게 일어난 큰일에 대해 엄마에게 말을 하지만, 엄마는 손톱을 깎는 데 집중합니다. 에피는 가만히 지켜보다, 유리로 된 꽃병을 그대로 손에서 놓습니다. 유리가 깨지니까 그제서야 엄마는 깜짝 놀라 뒤를 돌아 에피를 바라봅니다. 아무도 자신에게 관심을 주지 않는 상황 속에서 유일하게 의지했던 오빠가 눈앞에서 교통사고로 지적장애인이 되고, 에피는 그 누구와도 진정한 관계를 맺지 못합니다. 

 

경계선 성격장애는 에피의 환경과 같은 주요 양육자와의 관계, 애착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의 불안한 애착 관계로 생길 수 있는 경계선 성격장애. 이러 인해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경계선 성격장애는 ‘성격장애’ 카테고리에 들어갑니다. 심리학에서 성격이란, 오랫동안 지속되고 유지되는 행동 경향성을 뜻합니다. 개개인의 고유한 ‘성격’이 사회적인 기준에 적응하지 못할 때, 성격장애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경계선 성격장애는 인지, 정서, 대인관계 기능, 충동 통제 능력의 어려움이 특징인 성격장애입니다. 불안정한 자기정체감으로 우울, 불안, 분노, 공포, 의심을 강렬하게 경험하고, 불안정한 자기정체감은 삶의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영향을 끼칩니다. 

 

사진_ freepik
사진_ freepik

 

§경계선 성격장애로 인해 직면하는 어려움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경험하는 어려움들은 크게 세 가지 범주가 있습니다.

 

1. 정서적 불안정성: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강렬한 감정을 경험하지만, 감정 조절을 어려워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이 정서적 불안정성은 자신을 바라보는 이미지와 인간관계의 불안정한 패턴과 긴장된 관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인간관계 갈등: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인간관계를 유지합니다. 신뢰를 형성하기 어렵고, 버림받음에 대해 무서워하기에, 건강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대인관계의 어려움은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의 감정적인 고통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3. 자기 정체성 문제: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자아 정체감이 매우 불확실합니다. 자신의 가치에 대해 불안정하기에 삶의 목표와 의미에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공허감과 우울감을 느낍니다.

 

§경계선 성격장애의 회복을 위한 솔루션

경계선 성격장애를 치료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각 개인마다 다릅니다. 크게 세 가지 심리적 개입을 소개하겠습니다. 

 

1.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DBT는 증거 기반으로 설계되고, 경계선 성격장애를 치료하는 데 인정받고 있는 치료법입니다. Linehan 박사는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개개인을 위해 특별히 설계하여 고통과 괴로움 속에서 마음의 균형을 다시 잡을 수 있도록 DBT 치료를 개발했습니다. DBT에서는 주로 인지행동치료의 요소들과 기술 훈련을 접목해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고통에 건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2. 심리도식 치료(Schema Therapy): 심리도식 치료는 영유아 시기 초기 삶의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는 생각과 행동에 중점을 둡니다. 예를 들면, 에피가 ‘자신 곁에 있는 소중한 사람은 모두 다치거나 잃는다.’라는 부적응성 패턴을 식별하고 수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3. 정신화 기반 치료(Mentalization-Based Therapy: MBT): MBT는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이 자신의 감정과 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충동적인 반응을 줄이고, 타인의 의도를 바르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도록 돕습니다.

 

경계선 성격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잠깐의 치료가 아닌 주변의 꾸준한 사랑과 헌신, 지지, 응원을 필요로 합니다.

 

여의도힐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황인환 원장

 

--------

References

Linehan, M. M. (1993).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Guilford Press.

Bateman, A., & Fonagy, P. (2016).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practical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Fassbinder, E., & Arntz, A. (2012). Schema therapy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tate of the art.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25(1), 78-83.

Paris, J. (2019). The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mplications of research on diagnosis, etiology, and outcome.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15, 389-409.

황인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여의도힐 정신건강의학과 원장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석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회원
저서 <마음은 괜찮냐고 시가 물었다>
전문의 홈 가기
  • 애독자 응원 한 마디
  • "세상에 자신의 글을 통해 작은 생각의 변화를 이끄는
    선생님의 노력이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정신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